방광 결석(bladder stone)은 방광 내에서 미네랄(주로 칼슘, 마그네슘, 요산 등)이 뭉쳐져 단단한 돌처럼 형성된 것입니다. 주로 소변이 방광에 오래 머물러 있을 때, 소변 속 미네랄이 농축되어 결석이 만들어집니다.
원인과 위험 요인
방광 결석의 주요 원인은 방광을 완전히 비우지 못해 소변이 남아 있는 경우입니다. 주요 원인과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방광 출구 폐쇄: 50세 이상 남성에서 흔한 전립선 비대증(BPH) 등으로 방광을 완전히 비우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.
- 신경인성 방광: 척수 손상, 뇌졸중, 당뇨병 등으로 방광 기능이 저하되어 소변이 남을 때 발생합니다.
- 방광 염증: 만성 감염, 방사선 치료, 카테터나 수술 재료 등 이물질이 있을 때 결석이 잘 생깁니다.
- 탈수: 수분 섭취가 부족해 소변이 진해지면 결석 위험이 높아집니다.
- 신장 결석의 이동: 신장에서 만들어진 결석이 방광으로 내려와 커질 수 있습니다.
증상
작은 결석은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, 큰 결석은 방광을 자극해 다음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- 배뇨 시 통증 또는 작열감
- 소변 시작 또는 중단이 어려움
- 소변을 자주 보고 싶은 느낌(특히 밤에 심함)
- 하복부 통증 또는 압박감
- 소변에 피가 섞임(혈뇨)
- 소변이 뿌옇거나 색이 이상함
- 반복적인 요로 감염
- 소변 줄기가 끊기거나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음
합병증
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.
- 반복적인 요로 감염
- 만성 방광 기능 저하 또는 손상
- 소변 정체 및 폐색
- 혈뇨(소변에 피가 섞임)
- 만성 자극에 의한 방광암 위험 증가
진단
방광 결석 진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.
-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진
- 소변 검사(혈뇨, 감염, 결석 성분 확인)
- 영상 검사: 엑스레이, 초음파, CT 등으로 결석 확인
- 방광경 검사: 가느다란 내시경을 요도를 통해 삽입해 직접 방광을 관찰
치료
- 작은 결석: 수분 섭취를 늘려 자연 배출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.
- 큰 결석: 대부분 내시경(방광경)을 이용해 결석을 잘게 부수고 제거합니다(방광 결석 제거술).
- 수술: 아주 큰 결석이나 내시경으로 제거가 어려운 경우 개복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- 원인 치료: 전립선 비대증, 방광 출구 폐쇄, 이물질 등 근본 원인을 반드시 치료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.
약물로 결석을 녹이는 치료는 일부 요산 결석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.
예방
- 충분한 수분 섭취로 소변을 묽게 유지
- 요로 감염, 방광 출구 폐쇄 등 위험 질환 조기 치료
- 전립선 비대증, 신경인성 방광 등 위험 요인 관리
예후
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좋은 경과를 보입니다. 하지만 원인 질환을 치료하지 않으면 재발할 수 있습니다.
요약:
방광 결석은 소변이 방광에 오래 남아 있을 때 미네랄이 뭉쳐져 생기는 돌입니다. 주로 전립선 비대증, 신경인성 방광 등으로 방광을 완전히 비우지 못할 때 발생하며, 통증, 배뇨 장애, 혈뇨, 감염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진단은 영상 검사와 방광경을 통해 이루어지며, 치료는 결석 제거와 원인 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.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위험 질환의 관리가 중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