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 한국 위암 진료 가이드라인

대한위암학회는 2024년 최신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다학제적, 근거 중심으로 작성된 「한국 위암 진료 가이드라인 2024」를 발간하였습니다. 이 가이드라인은 국내외 최신 의학 논문과 연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반영하고, 수술, 내시경, 항암치료 등 위암 환자 진료의 전 과정을 포괄적으로 다룹니다.

주요 특징 및 변화점

  • 기존 2018년 23개 권고문에서 2024년 40개 권고문으로 확대
  • 4기 위암, 내시경절제술 적응증, 면역항암제 등 최신 치료법과 임상 연구 결과 반영
  • 내시경, 영상의학, 핵의학, 병리학 등 진단 분야 내용 보강
  • 치료 알고리즘 순서도(Flow chart)와 권고 등급, 근거 수준 명시로 실질적 임상 활용성 강화
  • 국내 대표 임상연구(KLASS, PRODIGY, SENORITA 등) 결과 적극 반영

진료 가이드라인의 주요 권고 내용

  • 수술적 치료: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 모두에서 복강경 수술이 개복수술과 유사한 장기 생존율을 보임(KLASS-01, 02 연구). 유문보존위절제술, 근위부위절제술 등 기능보존 및 삶의 질 향상 수술법의 근거 제시.
  • 내시경 치료: 내시경적 절제술의 적응증이 일부 확대 및 수정됨. 조기 위암에서 내시경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가 검증된 경우에 한해 권고.
  • 항암 및 표적치료: 4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에 대한 면역항암제, 표적치료제 등 최신 전신항암치료 결과 반영. 수술 전후 3제 항암요법(예: PRODIGY 연구) 등 다학제 치료 전략 포함.
  • 진단 및 병리: NGS 기반 유전자 패널 검사 등 최신 분자진단법 도입 권고. 병리학적 진단의 표준화 및 K-CAT(한국형 암 유전자 분류 체계) 적용.
  • 수술 후 관리: 위절제술 후 담석 예방(UDCA 복용), 정맥 철분주사(FAIRY 연구) 등 수술 후 환자 관리 최신 근거 반영.

국제 가이드라인과의 비교

한국 가이드라인은 일본과 함께 내시경 및 수술적 치료, 기능보존 수술, 다학제 접근에 높은 비중을 둡니다. 반면 미국, 유럽은 항암화학요법, 면역치료 등 전신치료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. FLOT(Fluorouracil, Leucovorin, Oxaliplatin, Docetaxel) 등 서구에서 표준으로 쓰이는 항암요법은 아시아인 대상 근거 부족으로 한국에서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.

다학제적 접근

가이드라인은 외과, 내과, 종양내과, 방사선종양학, 병리, 영상의학 등 다양한 전문과의 협력으로 완성되었으며,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치료 모델을 제시합니다.

참고

  • 대한위암학회 공식 홈페이지 및 학술지(Journal of Gastric Cancer)에서 가이드라인 원문과 상세 자료 확인 가능.
  • 본 가이드라인은 3~5년 주기로 최신 근거에 따라 개정 예정.

요약
2024년 한국 위암 진료 가이드라인은 국내외 최신 근거를 반영해, 수술·내시경·항암치료 등 진료 전 과정을 망라하고, 40개 권고문과 치료 알고리즘으로 임상 실무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. 국내 연구 결과와 다학제적 접근이 특징이며, 국제적 수준의 최신 진료 기준을 제시합니다.